Ⅰ. 보일러 운전
1. 보일러의 점화방법
(1) 기름 및 가스보일러의 점화
기름연료 점화나 가스연료의 점화는 비슷하다. 다만, 가스의 점화시는 가스의 누설에 주의하고, 이음부 등에서 비눗물 검사가 필요하며 점화시 가스의 압력은 일정하게 하고 불이 붙지 않을 경우 버너 밸브를 닫고 연소실 용적의 4배 이상의 공기를 불어넣어 노내를 환기시키는 것이 기름연소와 약간 다를 뿐이다.
① 자동점화 : 각 스위치의 정상유무를 점검한 후 표시등의 작동에도 이상이 없는가 확인한다.
② 자동운전 순서 : 기동스위치 → 버너무터 작동 →송풍기 모터작동 →1,2차 공기 댐퍼 작동 →프리퍼지(노내환기) →점화용버너 착화 →전자밸브 염 →주버너 착화 →저부하 연소 →고부하 연소 →착화버너 소화(消火)
③ 점화불량 원인
㉠ 점화 버너의 가스압 이상
㉡ 점화용 트랜스의 전기 스파크 불량
㉢ 댐퍼작동 불량
㉣ 보염기 위치 불량
㉤ 저연소 → 고연소 작동 불량
㉥ 공기비 조절불량
㉦ 파일럿 버너 불량
㉧ 주전원 전압 이상
㉨ 공기압 부족이나 과잉
㉮ 기름보일러 점화
① 보일러실에서 중유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점화나 소화시에 반드시 경유를 사용한다.
② 5초 이내에 주버너에 착화되지 않으면 즉시 버너밸브를 닫고 노내 환기를 충분히 한다.
③ 노내에 연소 초기에는 버너밸브를 천천히 열어서 차츰 저부하에서 고부하로 진행시킨다.
④ 기름량을 증가시킬 때에는 항상 공기의 공급량을 증가시킨 후 기름량을 증가시킨다.
⑤ 노내의 기름량을 줄일 때에는 먼저 기름량을 줄인 후 공기량을 줄인다.
⑥ 고압기류식 버너의 경우에는 증기나 공기의 분무매체를 먼저 불어넣고 기름을 투입시킨다.
㉮ 가스보일러 점화
① 점화는 1회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화력이 큰 불씨를 사용한다.
② 특히 노내환기에 주의하여야 하고, 실화(失火)시에도 충분한 환기가 이루어진 뒤 재점화한다.
③ 연료배관계통의 누설유무를 정기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
④ 전자밸브의 작동유무는 파열사고와 직결되므로 수시로 점검한다.

상용수위의 유지가 중요하며 어떠한 경우라도 안전저수위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하며 수관 보일러는 구조에 따라 결정된다.



㉮ 연소 초기 때
① 점화 후 증기 발생시까지는 연소량을 조금씩 가감한다(열응력과 스풀링 방지).
② 수면계를 철저히 주시한다.
③ 두 개의 수면계 수위가 다르면 즉시 수면계를 시험해 본다.
④ 과열기가 설치된 보일러는 증기가 생성되기까지는 과열기내로 물을 보내서 과열기의 과열을 방지한다.
⑤ 연도에 절탄기가 설치된 보일러에는 처음의 열가스는 부연도로 보낸 후 증기발생 후에 주연도로 보내서 저온부식이나 전열면의 오손을 막아준다.
㉯ 증기압이 오르기 시작할 때
① 공기빼기밸브를 닫는다.
② 급수장치의 기능을 확인한다.
③ 급격한 압력상승이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연소상태를 서서히 조절한다.
④ 가열에 따른 팽창으로 수위의 변동을 확인하고 필히 수면계의 기능을 시험한다.
⑤ 장치 및 부속품의 누설을 점검한 수 누설이 있는 곳은 더욱 조여준다.
⑥ 증기 안전밸브는 증기압력이 75% 이상될 때 안전밸브를 분출시킨다.
㉰ 증기를 송기할 때 주의사항
① 증기관내의 수격작용을 방지하기 위하여응축수의 배출을 사전에 실시한다(드레인 밸브 작동).
② 비수발생에 주의한다.
③ 과열기의 드레인을 배출시킨다.
④ 주증기 밸브를 조금 열어서 주증기관을 따뜻하게 한다.
⑤ 주증기 밸브를 열 때 1회전 소요시간은 3분 이상으로 하여 천천히 연다.
⑥ 주증기 밸브를 완전히 연 다음 조금 되돌려 놓는다.
⑦ 압력계 수면계는 항상 정상적으로 가동되도록 한다.
㉱ 주증기 밸브 작동요령
① 스팀헤더 주위밸브 및 트랩 등의 바이패스 밸브를 열어 드레인을 제거한다.
② 주증기관 내에 소량의 증기를 공급하여 예열한다.
③ 천천히 열기 시작하여 완전히 열릴 때까지 3분 이상 소요되도록 천천히 연다.
④ 완전히 연 후 조금 되돌려 놓는다.
⑤ 주증기 밸브를 급하게 열 경우 동내부에 급격한 압력변화를 주게 되어 비수현상이 극심해지고, 수격작용으로 관의 파열 및 부속기기들이 파손되므로 주의한다.
㉲ 송기 후 주의사항
① 투시구를 바라보면서 화염의 감시를 철저히 한다.
② 노내의 화염색깔을 오렌지색으로 조절한다.
③ 보일러 운전 중 비수나 포밍 등이 발생하면 적절한 조치 후 가동시킨다.
④ 보일러 운전 중 관수가 농축되면 분출을 하고 새로운 물을 넣어 관의 부식 등을 예방하도록 한다.
⑤ 저수위사고에 신경을 쓴다(상용수위 유지도모).
⑥ 항상 증기압력이 상용압력인지 자주 압력계를 검시한다.
㉳ 작업종료 후 조치사항
① 과열기가 있는 경우에는 출구 정지밸브를 닫는다.
② 드레인 밸브는 연다.
③ 버너팁을 청소한다.
④ 연료계통, 급수계통 밸브의 누설유무를 조사한다.
⑤ 베어링부에는 주유를 한다.
⑥ 수면계 등의 수위 확인 및 기름탱크 연료량을 조사한다.
2. 보일러 수위조절
급수는 1회에 다량으로 하지 말고 급수처리를 하여 연속적으로 소량, 일정량씩 급수를 해야 하며 또한 급수장치 계통 장치의 기능에 이상이 없는지 항상 주의하여야 한다.


정상수위는 수면계의 중간위치(40~60%)를 기준으로 하고 항상 2개의 수면계 수위를 비료하여 일치해야 한다.

증기보일러(관류보일러는 제외)에는 2개 이상의 유리수면계를 부착하여야 한다(소용량 보일러에는 1개). 다만 최고사용압력이 10㎏/㎠이하로서 동체의 안지름이 750㎜ 미만의 것에서 그 중 1개는 다른 종류의 수면 측정장치로(검수콕) 하여도 무방하다(검수콕 3개를 부착하며 최고수위, 정상수위, 최저수위에 각각 부착한다). 또한 압력이 높은 보일러에서는 2개 이상의 원격지시 수면계를 설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유리수면계를 1개 이상으로 할 수 있다.
(3) 수면계의 유리관 파손원인
① 상하의 바탕쇠 중심선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② 유리관 자체의 재질이 나쁠 때
③ 상하의 너트를 너무 조였을 경우
④ 외부에 충격을 받았을 경우
⑤ 유리관을 너무 오래 사용하였을 경우
⑥ 급열, 급냉시
(4) 수면계 유리관 교체
① 유리관 삽입구를 깨끗하게 청소한다.
② 물 콕을 조금 열어 미리 데운다.
③ 너트를 조일 때는 무리한 힘을 가하지 말고 알맞게 조인다.
④ 수면계에 맞는 유리관을 준비하여 곧은가를 확인한다.
3. 안전밸브의 취급
(1) 안전밸브의 취급
① 2개의 안전밸브 중 1개는 최고사용압력 이하로 하고, 나머지 1개는 최고사용압력의 1.03배 이하로 하되 1.06배 이하에서 급격히 연료가 차단될 수 있도록 조절시킨다(설치검사 기준시에는 1.03배 이하).
② 과열기의 안전밸브는 본체의 안전밸브보다 먼저 취출되도록 조정한다.
③ 독립된 과열기에는 입구와 출구에 각각 안전밸브를 부착한다.
④ 절탄기의 도피밸브(안전밸브)는 본체의 안전밸브보다 높게 설치한다.
⑤ 수동에 의한 안전밸브의 시험은 취출압력의 75% 이상의 압력에서 시험레버를 작동시켜 본다.
⑥ 작동시험을 하는 경우에는 증기밸브를 조이고 연소량을 늘려 취출압력에 도달하였을 때 취출압력 및 흡지압력이 허용차 내에서 정확히 작동하는가를 조사한다.
⑦ 열매체 보일러의 안전밸브는 밀폐식 구조인지 확인한다.
⑧ 안전밸브는 매년 1회 계속사용 안전검사 때 분해정비하고 변좌의 소모가 있을 때에는 연마 후 사용한다.
⑨ 2개 이상의 안전밸브가 있으면 조정분출압력을 단계적으로 취출하도록 한다.
(2) 온수보일러의 도피관
① 도피관은 동결되지 않도록 보온재의 피복상태를 수시로 조사한다.
② 도피관은 일수(오버플로우) 여부를 눈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③ 도피관은 내면에서 녹이나 물속의 이물질 때문에 막힐 염려가 있어 기능에 주의한다.
④ 정기적으로 손질을 한다.
Ⅱ. 보일러의 운전장해
1. 보일러 운전 중 장해와 사고
(1) 가마울림
가마울림이란 연소 중 연소실이나 연도 내에서 연속적인 울림을 내는 현상으로 보일러 연소 중에 발생된다.
① 원인
㉠ 연료 중에 수분이 많을 경우
㉡ 연료와 공기의 혼합이 나빠서 연소속도가 느릴 경우
㉢ 연도에 에어포켓이 있을 경우
② 방지법
㉠ 수분이 적은 연료를 사용한다.
㉡ 2차 공기의 통풍을 조절한다.
㉢ 연소실이나 연도를 개조한다.
㉣ 연소실내에서 완전 연소시킨다.
㉤ 연소속도를 너무 느리게 하지 않는다.
(2) 캐리오버(Carry Over) 현상
보일러에 있어 캐리오버는 보일러관수(水) 중에 용해 또는 현탁되어 있는 고형물이 증기의 흐름과 함께 증기사용 시스템으로 넘어가는 현상이다. 보일러관수 중의 고형물이 증기시스템으로 넘어가면 증기 건조도가 저하하여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고 과열기를 팽출, 파열시키며 증기사용 시스템 열사용 설비에 고형물이 부착되어 전열효율 감소로 증기의 소모량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캐리오버 방지는 증기드럼에 기수분리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나 격렬한 프라이밍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충분히 그 효력이 발휘되지 못하는 수가 많다.
① 물리적 원인
㉠ 증발 수면적이 좁다.
㉡ 보일러내의 수면이 비정상적으로 높게 될 경우
㉢ 증기정지밸브를 급히 열 경우
㉣ 보일러 부하가 급격하게 증대될 경우
㉤ 압력의 급강하로 격럴한 자기증발을 일으킬 때
② 화학적 원인
㉠ 나트륨 등 염류가 많고 특히 인산나트륨이 많을 때
㉡ 유지류나 부유 고형물이 많고 융해 고형물이 다량 존재할 경우
(3) 프라이밍(Priming)
프라이밍이라 함은 보일러 부하의 급변이나 수위의 급격한 상승 때문에 보일러수가 미세한 수적(水滴, 물방울)이나 거품상태로 다량 발생하여 증기와 더불어 보일러 밖으로 송출되는 현상이다.
(4) 포밍(Forming)
포밍(물거품 솟음)이란 유지분이나 부유물 등에 의하여 보일러수의 비등과 함께 수면부에 거품을 발생시키는 현상이다. 즉, 프라이밍이나 포밍이 발생하면 필연적으로 캐리오버가 발생한다.
① 프라이밍, 포밍 발생원인
㉠ 주증기 밸브의 급개
㉡ 고수위의 보일러 운전
㉢ 증기부하의 과대
㉣ 보일러수의 농축
㉤ 보일러수 중 부유물, 유지분, 불순물 함유
② 포밍 원인 물질 : Na, K, Ca, Mg 등의 염류
③ 포밍을 촉진시키는 물질
식생물의 유지류(유지류는 보일러수의 알칼리와 작용해서 비누를 생성), 유기물, 현탁 고형물 등이다. 또한 포밍을 촉진하지는 않더라도 잠재적이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은 수산화나트륨, 인산나트륨 등이며 거품을 파괴하는 것으로는 염화나트륨이 있다.
④ 프라이밍, 포밍 방지대책
㉠ 주증기 밸브를 천천히 열 것
㉡ 정상수위로 운전할 것
㉢ 과부하 운전이 되지 않게 할 것
㉣ 보일러수의 농축을 방지할 것
㉤ 급수처리를 하여 부유물, 유지분, 불순물을 제거할 것
(5) 수격작용 (Water Hammer)
수격작용이란 캐리오버 등에 의해 증기계통에 고여 있던 응축수가 송기될 때 고온 고압의 증기에 이끌려 배관을 강하게 때리는 현상이다.
① 장해
㉠ 배관에 무리를 주어 파열시킨다.
㉡ 배관 부식을 촉진시킨다.
㉢ 증기 손실이 많다.
㉣ 증기의 마찰저항이 크다.
② 방지법
㉠ 주증기 밸브를 천천히 연다.
㉡ 증기배관의 보온을 철저히 한다.
㉢ 응축수 빼기를 철저히 한다.
㉣ 증기트랩을 설치한다.
㉤ 포밍이나 프라이밍을 방지한다.
㉥ 송기 전에 소량의 증기로 증기관을 따뜻하게 한다.
㉦ 캐리오버 방지를 위하여 기수분리기나 비수방지관을 설치한다.
2. 보일러 가동 중 연소장해 원인
연소시 이상 원인은 다음과 같다.
(1) 공기 공급불량 원인
① 덕트 저항 증대
② 송풍기 회전수 부족
③ 공기 댐퍼 불량
④ 송풍기 능력 부족
⑤ 윈드박스 폐쇄
(2) 화염 중 불똥(스파크)이 튀는 원인
① 기름온도가 낮을 경우
② 버너 속에 카본이 부착되었을 경우
③ 분무용 공기압이 낮을 경우
④ 중유에 아스팔트 성분이 많을 경우
⑤ 버너 타일이 맞지 않을 경우
⑥ 노즐의 분무특성이 불량할 경우
⑦ 연소실 온도가 낮을 경우
(3) 연료소비의 과대원인
① 기름 발열량이 낮을 경우
② 기름 내에 물이나 협잡물이 포함될 경우
③ 기름 예열온도가 낮을 경우
④ 연소용 공기 부족하거나 과잉일 경우
(4) 기름 속에 슬러지가 생기는 원인
① 기름 내에 수분이나 협잡물이 많을 경우
② 기름 내에 왁스성분이 포함될 경우
③ 기름 내에 아스팔트 성분 및 탄소분이 많을 경우
(5) 역화 (Back Fire) 원인
① 착화시간이 지연될 경우
② 공기보다 연료를 먼저 공급하였을 경우
③ 유압이 지나치게 클 경우
④ 프리퍼지가 부족할 경우
⑤ 1차 공기의 압력이 부족할 경우
⑥ 기름 내에 물이나 협잡물이 함유된 경우
⑦ 관 기름 속에 공기가 들어갈 경우
⑧ 흡입통풍이 너무 약할 경우
(6) 점화불량 원인
① 기름이 분사되지 않을 경우
② 기름배관에 물이나 슬러지가 들어갈 경우
③ 기름 온도가 너무 높을 경우
④ 기름 온도가 너무 낮을 경우
⑤ 유압이 낮을 경우
⑥ 버너 노즐이 막혔을 경우
⑦ 1차 공기 압력이 너무 높을 경우
⑧ 1차 공기량이 너무 많을 경우
⑨ 착화버너 불꽃이 불량할 경우
⑩ 착화버너와 주버너의 점화 시간이 어긋날 경우
(7) 열전도가 불량하고 능력이 오르지 않는 원인
① 보일러 능력이 부족할 경우
② 무화상태가 불량할 경우
③ 연료공급이 부족할 경우
④ 통풍력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
⑤ 전열면에 그을음 및 스케일이 많이 쌓였을 경우
(8) 버너모터가 움직이지 않는 원인
① 전원이 불량한 경우
② 전기배선이 끊어졌을 경우
(9) 버너에서 기름이 분사되지 않는 원인
① 기름탱크 기름이 부족할 경우
② 유압이 너무 낮을 경우
③ 버너노즐이 막혔을 경우
④ 분연펌프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
⑤ 급유관이 이물질로 막혔을 경우
⑥ 화염검출기 작동이 불량할 경우
(10) 급유관이 막히는 원인
① 기름 내에 슬러지가 많을 경우
② 기름 내에 회분량이 많을 경우
③ 기름 점도가 높을 경우
④ 기름이 굳었을 경우
⑤ 기름 내에 협잡물이나 이물질이 많을 경우
(11) 운전 도중 불이 꺼지는 원인
① 버너 밸브를 너무 빨리 닫았을 경우
② 정전이 되었을 경우
③ 기름탱크에 기름이 없을 경우
④ 점화불량의 원인 참고
⑤ 1차 공기량 공급이 부족할 경우
(12) 버너노즐이 막히는 원인
① 출구에 카본이 축적된 경우
② 노즐의 온도가 너무 높을 경우
③ 기름 내에 협잡물이 많을 경우
④ 소화시에 노즐에 기름이 남아 있을 경우
(13) 버너화구에 카본이 축적되는 원인
① 기름 점도가 너무 클 경우
② 기름 내에 카본량이 너무 많을 경우
③ 유압이 너무 클 경우
④ 기름 온도가 너무 높을 경우
⑤ 기름 분무가 불균일할 경우
⑥ 공기 공급량이 부족할 경우(1차 공기)
⑦ 기름 무화가 불량할 경우
⑧ 노즐과 버너타일의 중심이 불량할 경우
(14) 노벽에 카본이 축적되는 원인
① 기름 점도가 너무 클 경우
② 노내 온도가 낮을 경우
③ 유압이 너무 높을 경우
④ 1차 공기압력이 너무 높을 경우
⑤ 무화된 기름이 직접 충돌할 경우
⑥ 공기 공급이 부족할 경우
⑦ 노푹이 좁을 경우
⑧ 불완전 연소가 되었을 경우
(15) 소음 진동 원인
① 노즐 분사음
② 공기 배관속 기류진동
③ 압축기 흡입소음
④ 기름펌프 흡입소음
⑤ 연기소음
⑥ 송풍기 흡입소음
⑦ 송풍기 임펠러의 불균형
(16) 기름 속에 슬러지가 생기는 원인
① 기름 내에 아스팔트 성분 및 탄소분이 많을 경우
② 기름 내에 왁스성분이 포함된 경우
③ 기름 내에 수분이나 협잡물이 많을 경우
(17) 기름 여과기가 막히는 원인
① 여과기 청소를 하지 않았을 경우
② 기름 점도가 너무 클 경우
③ 기름 내에 슬러지나 불순물이 많을 경우
(18) 연소 불안정 원인
① 기름 배관 내에 공기가 들어간 경우
② 기름 내에 수분이 포함된 경우
③ 기름 온도가 너무 높을 경우
④ 펌프의 흡입량이 부족한 경우
⑤ 연료 공급 상태가 불안정한 경우
⑥ 기름 점도가 너무 높을 경우
⑦ 1차 공기 압송량이 너무 많을 경우
(19) 매연 발생 원인
① 연료 내에 중질분이 포함된 경우
② 공기 공급량이 부족하거나 지나칠 경우
③ 무리한 연소를 한 경우
④ 연소실 온도가 너무 낮을 경우
⑤ 연료 내 회분량이 너무 많을 경우
⑥ 연소장치가 불량할 경우
(20) 분화구로부터 연기가 나오는 원인
① 통풍력이 부족한 경우
② 연돌 흡인력이 부족한 경우
③ 갑자기 통풍력을 증가시킬 경우
④ 연도 단면적이 적을 경우
⑤ 연도에 재가 많이 쌓였을 경우
⑥ 연소가스 출구가 막혔을 경우
⑦ 연도로부터 냉공기가 침입할 경우
(21) 진동연소 원인
① 연도 이음부의 설계가 나쁠 경우
② 버너타일과 버너위치가 불량할 경우
③ 버너타일 형상이 맞지 않을 경우
④ 1차 공기압과 유압이 불안정할 경우
⑤ 노내 압력이 너무 높은 경우
⑥ 분무공기압이 너무 높을 경우
⑦ 분연펌프가 맥동이 있을 경우
(22) 기름펌프 흡입불량 원인
① 기름 예열온도가 높아 기화한 경우
② 펌프 슬립이 생긴 경우
③ 펌프 입구측 밸브가 닫혔을 경우
④ 기름 배관 계통에 공기가 침입한 경우
⑤ 펌프 흡입 낙차가 너무 클 경우
⑥ 기름 점도가 너무 클 경우
⑦ 기름여과기가 막혔을 경우
3. 보일러 가동 중 긴급사태시 정지순서
① 연료를 차단한다.
② 연소용 공기를 멈춘다.
③ 버너와 송풍기 모터를 정지시킨다.
④ 압력은 천천히 자연적으로 내리며 보일러를 식힌다(안전밸브는 작동시키지 말 것).
⑤ 이상 유무를 점검할 것
⑥ 이상이 없을 경우 천천히 보일러를 가동시킬 것
4. 보일러 파열사고
(1) 보일러 파열 원인
① 이상 감수(減水)
② 제한 압력초과
③ 보일러 구조상 결함 (설계불량, 가공불량, 재료불량)
(2) 보일러 과열




연소실 내 또는 연도 내에 정체되어 있는 미연소가스 또는 탄진 등이 공기와 혼합되어 폭발한계 안에 들게 되었을 때 불씨가 들어가면 급격한 연소가 일어나서 폭발사고가 일어난다. 가스 또는 탄진의 양이 많을수록 큰 폭발이 생기며, 양이 적을 때에는 역화(逆火)라 하며 가스폭발 방지법은 역화 원인 8가지를 제거하면 된다.
① 소손
㉠ 원인
ⓐ 과열이 지나쳐 강재 속에 탄소 일부가 800℃ 이상에서 연소된 후 강도를 상실한 현상이다.
ⓑ 과열은 강재를 풀림처리하면 원래 조직으로 재생되지만 소손은 열처리를 하여도 원래대로 성질이 회복되지 않는다.
㉡ 방지법
과열 원인을 제거하여야 한다.
② 압궤 (Collapse)
㉠ 원인
노통이나 연관이 스케일로 인하여 과열되어 보일러수로부터 압력을 받아 압궤를 초래한다.
㉡ 압궤가 일어나는 장소 : 노통, 연소실 관판
ⓐ 감수 : 팽출, 압궤
ⓑ 수중유지 부하일 경우 : 팽출, 압궤

㉠ 원인
수관이나 동저부에 스케일(관석)이 생성되었을 경우 고열의 연소가스가 이 부분에 접촉하면 과열로 인한 부동팽창에 의하여 변형을 가져와 결국 파열이 일어난다(인장응력을 받는다).
㉡ 팽출이 일어나는 장소 : 횡연관, 보일러 동저부, 수관

균열이란 국부적으로 응력(Stress)이 집중된 부분과 압력변화와 열에 의해 신축이 일어난 부분에서 조직이 파괴되어 점차로 금이 가는 현상을 크랙(Crack)이라 한다.
㉠ 발생장소
ⓐ 리벳구멍
ⓑ 스테이 자체 부근판
ⓒ 용접 이음부
ⓓ 플랜지 구멍
ⓔ 노통
㉡ 발생원인
ⓐ 보일러 구조상 결함
ⓑ 불균일한 가열, 급열, 급냉 등에 의한 부동팽창
ⓒ 가공불량
ⓓ 압력 과대
㉢ 발생부분
ⓐ 가공 불량으로 인해 잔류응력이 남는 부분
ⓑ 응력이 집중되는 부분(이음부 등)
ⓒ 화염이 접촉되는 부분
⑤ 보일러 판의 손상
㉠ 레미네이션 (Lamination)
한 장으로 된 보일러 강판이나 관이 여러 원인으로 두 장의 층으로 분리된 상태를 레미네이션이라고 한다.
ⓐ 열전도가 잘 되지 않는다.
ⓑ 균열이 생긴다.
ⓒ 강도가 저하된다.
㉡ 블리스터 (Blister)
레미네이션 상태에서 화염과 접촉하여 높은 열을 받아 소손되어 외부로 부풀어 오르는 현상이다.

Fig._3-1_2.jpg
Fig._3-3.jpg
Fig._3-4_5_6.jpg
Fig._3-7.jpg
Fig._3-8.jpg
Fig._3-9_10.jpg
Fig._3-11.jpg
Fig._3-12.jpg
Table_3-1.jpg
Table_3-2.jpg
Table_3-2-1.jpg
Table_3-2-2.jpg
Table_3-2-3.jpg
Table_3-2-4.jpg